최종편집 : 2025.01.17 00:58
TODAY : 포덕166년 2025.01.17 (금)

  • 맑음속초-2.6℃
  • 박무-5.4℃
  • 흐림철원-9.4℃
  • 맑음동두천-9.0℃
  • 맑음파주-10.2℃
  • 맑음대관령-18.0℃
  • 흐림춘천-4.9℃
  • 맑음백령도0.0℃
  • 맑음북강릉-3.0℃
  • 맑음강릉-2.6℃
  • 맑음동해-3.1℃
  • 맑음서울-4.5℃
  • 맑음인천-3.9℃
  • 맑음원주-5.4℃
  • 눈울릉도1.0℃
  • 맑음수원-5.8℃
  • 맑음영월-7.2℃
  • 맑음충주-4.2℃
  • 맑음서산-5.7℃
  • 맑음울진-3.2℃
  • 맑음청주-2.0℃
  • 구름조금대전-2.4℃
  • 맑음추풍령-4.4℃
  • 맑음안동-4.1℃
  • 맑음상주-4.1℃
  • 맑음포항-1.2℃
  • 맑음군산-3.8℃
  • 맑음대구-2.4℃
  • 박무전주-1.4℃
  • 맑음울산-1.3℃
  • 맑음창원-1.6℃
  • 맑음광주-0.8℃
  • 맑음부산0.5℃
  • 맑음통영-0.8℃
  • 맑음목포0.8℃
  • 맑음여수0.3℃
  • 맑음흑산도2.7℃
  • 구름조금완도1.3℃
  • 맑음고창-3.6℃
  • 맑음순천-3.4℃
  • 맑음홍성(예)-5.9℃
  • 맑음-4.8℃
  • 흐림제주6.9℃
  • 흐림고산6.9℃
  • 흐림성산4.8℃
  • 맑음서귀포4.0℃
  • 맑음진주-7.0℃
  • 맑음강화-6.6℃
  • 맑음양평-6.6℃
  • 맑음이천-6.6℃
  • 흐림인제-6.9℃
  • 흐림홍천-6.7℃
  • 맑음태백-12.1℃
  • 맑음정선군-11.0℃
  • 맑음제천-8.2℃
  • 맑음보은-5.6℃
  • 맑음천안-5.4℃
  • 맑음보령-4.5℃
  • 맑음부여-4.8℃
  • 맑음금산-4.7℃
  • 맑음-3.2℃
  • 맑음부안-2.8℃
  • 맑음임실-4.7℃
  • 흐림정읍-1.6℃
  • 맑음남원-3.0℃
  • 맑음장수-5.3℃
  • 맑음고창군-3.1℃
  • 맑음영광군-2.5℃
  • 맑음김해시-2.7℃
  • 맑음순창군-4.4℃
  • 맑음북창원-1.4℃
  • 맑음양산시-3.6℃
  • 맑음보성군-0.8℃
  • 맑음강진군1.7℃
  • 맑음장흥-3.3℃
  • 맑음해남2.0℃
  • 맑음고흥-2.3℃
  • 맑음의령군-6.1℃
  • 맑음함양군-4.2℃
  • 맑음광양시-1.8℃
  • 맑음진도군1.7℃
  • 맑음봉화-7.6℃
  • 맑음영주-5.6℃
  • 맑음문경-4.4℃
  • 맑음청송군-7.8℃
  • 맑음영덕-2.9℃
  • 맑음의성-5.7℃
  • 맑음구미-3.4℃
  • 맑음영천-5.9℃
  • 맑음경주시-7.1℃
  • 맑음거창-6.9℃
  • 맑음합천-4.1℃
  • 맑음밀양-4.7℃
  • 맑음산청-2.9℃
  • 맑음거제-2.3℃
  • 맑음남해-2.3℃
  • 맑음-5.3℃
기상청 제공
11일, 중앙대교당에서 동학혁명기념식 열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천도교뉴스

11일, 중앙대교당에서 동학혁명기념식 열려

동학정신, 1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살아 숨 쉬고 있어
동학 선열들의 새로운 세상을 향한 열정의 의미와 헌신의 가치를 기억해야

KakaoTalk_20240513_111116782_18.jpg
제130회 동학혁명기념식에서 윤석산 교령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지난 5월 11일 오전 11시 천도교중앙대교당에서 제130주년 동학혁명 기념식 및 기념공연이 열렸다.

2019년 정부가 제정, 공포한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은 1894년 5월 11일 동학군이 관군과 일본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둔 날로, 동학농민혁명은 의병 항쟁, 3.1운동, 항일무장투쟁에까지 영향을 끼쳤으며, 평등사회와 자주독립을 지향했던 혁명이었다. 

천도교는 1860년 수운 최제우 대신사가 창도한 동학은 종교적 가치를 넘어 사회를 개혁하고자 했던 혁명으로 이어졌으며 동학혁명이 꿈꿨던 만민평등정신과 자주독립의지를 계승하기 위해 해마다 이날을 기념하고 있다.

KakaoTalk_20240513_111116782_13.jpg
윤석산 교령

 

윤석산 교령은 기념사를 통해 “동학혁명이 물리적으로는 실패한 것처럼 보일지 모르겠지만, 정신적으로는 민족혼을 결집한 결코 실패한 혁명이 아니었다. 과거와 현재, 전근대와 현대, 봉건 질서와 자본주의 등 이분법적인 대립 구조가 갈등하던 우리 근대사의 최전선에서 가장 먼저 백성의 힘으로 거대한 힘에 맞섰던 숭고하고 장엄한 혁명”이었다고 밝히며

동학혁명 130주년을 맞이하며 나라를 위해, 민족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아끼지 않고 다 바쳤던 동학군의 정신을 기억하여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다 함께 노력할 것, 또한 국민의 마음속에 동학혁명의 역사적 의미와 정신을 널리 알리는 일에도 멈추지 말아야 하겠다고 강조했다. 

기념식은 개식-국민의례-청수봉전-심고-주문3회 병송-창의문 낭독-동학혁명군 12개조 폐정개혁안 낭동-천덕송 합창(동학행진곡)-기념사-천덕송 합창(동학혁명기념가)-만세삼창-심고-폐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박징재 천도교여성회본부 회장의 창의문 낭독, 이재선 청년회장의 동학혁명군 12개조 폐정개혁안 낭독, 김성환 연원회 의장의 선창으로 만세삼창이 이어졌다. 

KakaoTalk_20240513_111116782_06.jpg
김성환 연원회장의 선창에 이어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KakaoTalk_20240513_111116782_04.jpg
천도교 샘 연합합창단의 공연

 

KakaoTalk_20240513_111042717_23.jpg
기념공연으로 가수 문진오의 초청공연이 이어졌다.

 

기념식에 이어, 기념공연은 천도교 샘 연합 합창단의 합창 <개벽행진곡>, <청산에 살리라> 두 곡을 선보여 큰 박수를 받았다.

다음으로 <독립운동가의 노래>로 활동하고 있는 문진오 가수의 초청공연이 이어져 <죽창가>, <빛이 된 사람 해월 최시형>, <겨레의 가슴 손병희>, <보성사 이종일, 바람의 혁명>, <천명, 수운 최제우>, <내 안의 한울님>을 무대에서 함께했다. 


올해는 동학농민혁명 130주년과 함께 수운 최제우대신사 탄신 200주년을 맞이한다. 새로운 세상을 향한 열정과 헌신의 가치를 기억하고 동학의 살신성인 정신을 계승 선양하려는 노력이 빛을 발하기를 기대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